에어컨 작동원리

에어컨청소효과

  • 1


에어컨 작동의 핵심원리는 액체가 기체로 변하는 증발현상입니다.
바람이 불어 땀이 증발하면 시원하게 느껴지는 것과 같은 원리죠.
이런 원리를 이용해 물보다 증발하기 쉬운 프레온가스 같은 냉매를
이용해 차 실내의 열을 밖으로 내보내고 차가워진 공기를
차 실내로 불어넣는 것이죠.
 
작동과정은 엔진과 연결된 압축기(Compressor)가 냉매를 압축해
액체상태로 바꾸고 압축과정에서 액체냉매에 포함된 열을
응축기(Condensor)에서 자동차 앞쪽 그릴쪽으로 들어오는 공기를
이용해 팬을 통해 식힙니다.
 
식은 냉매는 갑자기 관이 좁아지는 팽창밸브(Expansion valve)를
통과하면서 증발하기 쉬운 상태로 바뀌고
증발기(Evaporator)를 통과하면서 기체로 바뀝니다.
액체가 기체로 바뀌는 증발과정는 당연히 열이 필요한데요.
차 실내의 더운 공기로부터 이 열을 공급받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주변공기가 차가워 지는 것입니다.
이 차가워진 공기를 팬(블로워)을 통해 실내로 불어넣는 것입니다.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에 실내외의 온도와 습도를 감지하는
몇개의 센서와 작동전체를 제어하는 전자장치가 결합된 것이 에어컨이라고 보시면 됩니다.